switch문은 if~else 문과 비슷한 역활을 한다. switch 문은 다음과 같은 형태로 구성된다.

switch(n)
{
case 1:
	...
case 2:
	...
...
case n:
	...
default:
}

n은 switch문으로 전달되는 인자로 정수형 변수여야 한다. 전달되는 n 값에 따라 실행할 영역이 결정된다. n의 값이 2면 case 2의 영역을 실행하게 된다. n의 값에 일치하는 case 영역이 없을 경우 default 영역을 실행한다.

 

#include <stdio.h>

int main(void)
{
    int num;
    printf("Input 1~3 number : ");
    scanf("%d", &num);

    switch (num)
    {
    case 1:
        printf("input 1\n");
        break;
    case 2:
        printf("input 2\n");
        break;
    case 3:
        printf("imput 3\n");
        break;
    default:
        printf("I don't know! \n");
    }
    return 0;
}

switch문에서 위 코드와 같이 break문을 사용하면 조건을 만족할 경우 해당 영역을 실행 후 switch문을 탈출한다. break문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조건에 맞는 영역과 그 아래 영역까지 모두 실행한다. 예를 들어 num 값이 2라면 case 2, 3, default 영역까지 모두 실행되는 것이다.

'Language > C, C++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C] 함수(function)  (0) 2020.12.08
[C] goto  (0) 2020.12.08
[C] continue  (0) 2020.12.05
[C] break  (0) 2020.12.05
[C] 조건 연산자(삼항 연산자)  (0) 2020.12.05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