DHCP (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) : 사용자가 인터넷을 하기 위한 IP주소 설정, 중복 방지. 

    Gateway, Subnetmask, DNS서버 등을 자동으로 구성해주는 기능


@Server

#yum -y install dhcp                // dhcp 패키지 설치


#vi /etc/dhcp/dhcpd.conf         // dhcp 설정 파일

6번줄 - 서비스를 적용할 네트워크 대역

7번줄 - 할당할 IP주소 범위

8번줄 - 게이트웨이 주소

9번줄 - 브로드캐스트 주소

10번줄 - 서브넷 마스크

11번줄 - DNS서버 주소

12번줄 - 기본 임대시간(초)

13번줄 - 최대 임대시간(초)


#service dhcpd start            // dhcp 데몬 시작



@Client

#ifconfig

- 현재 ip : 100.100.100.110


#vi /etc/sysconfig/network-scripts/ifcfg-eth0

- 기존의 ip설정을 주석처리하고 BOOTPROTO 값을 dhcp로 변경

#service network restart        // 네트워크 재시작

#ifconfig

- 설정에서 정한 ip주소 범위 안의 주소를 받음




특정 호스트에게 고정 IP 할당하기

@Server

#vi /etc/dhcp/dhcpd.conf

16번줄 - 호스트 이름

17번줄 - MAC주소 (호스트에서 ifconfig명령으로 확인가능)

18번줄 - 고정 IP주소


#service dhcpd restart        // dhcp데몬 재시작


@Client

- 고정한 IP 주소를 받아온다.



@재부팅 시에도 자동으로 서버가 동작할수 있도록 설정

#chkconfig dhcpd on





 

'Server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Linux]NFS  (0) 2018.12.15
[Linux] Bonding  (0) 2018.10.07
[Linux]NC  (0) 2018.10.06

+ Recent pos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