자료형은 데이터를 표현하는 방법이다. C에는 다음의 여러가지 자료형들을 기본적으로 제공하고 있다.
정수형 자료형 :
char / 1바이트
short / 2바이트
int / 4바이트
long / 4바이트
long long / 8바이트
실수형 자료형 :
float / 4바이트
double / 8바이트
long double / 8바이트 이상
자료형은 데이터의 표현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, 메모리의 효율적인 사용을 위해 다양한 자료형이 필요하다.
sizeof()연산자를 사용하면 자료형의 크기를 확인할 수 있다.
#include <stdio.h>
int main(void){
char ch = 9;
int iNum = 1052;
double dNum = 3.14;
printf("size of var ch : %d\n", sizeof(ch));
printf("size of var iNum : %d\n", sizeof(iNum));
printf("size of var dNum : %d\n", sizeof(dNum));
printf("size of char : %d\n", sizeof(char));
printf("size of int : %d\n", sizeof(int));
printf("size of long : %d\n", sizeof(long));
printf("size of long long : %d\n", sizeof(long long));
printf("size of float : %d\n", sizeof(float));
printf("size of double : %d\n", sizeof(double));
return 0;
}
/* output :
size of var ch : 1
size of var iNum : 4
size of var dNum : 8
size of char : 1
size of int : 4
size of long : 4
size of long long : 8
size of float : 4
size of double : 8
*/
위 코드에서 처럼 sizeof 연산자를 이용하면 변수의 크기와 자료형의 크기를 알 수 있다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