문자열 포매팅 : 문자열 내에서 어떤 값을 사용하는 방법
문자열에서 사용할 값이 변할 때(변수) 유용하다.
1 2 | print("정수 : %d" %10) # 출력값 : 정수 : 10 | cs |
[포맷 코드]
%s 문자열
%c 문자 1개
%d 정수
%f 실수(소수)
%o 8진수
%x 16진수
[포맷 코드를 이용한 소숫점 표현]
1 2 | print("소수 : %.2f" %3.141592) # 출력값 : 소수 : 3.14 |
%f는 기본값으로 6자리 까지 출력한다.
%.xf (x는 소숫점 자리 수)의 형태로 자리수를 지정할 수 있다.
[포맷 함수를 이용한 포매팅]
1 2 | print("{} + {} = {}".format(1,2,3)) # 출력값 : 1 + 2 = 3 | cs |
format()함수 안의 값을 { } 안에 순서대로 대입한다.